[]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 동서양고전 B형>아리스토텔레스의 『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7:57
본문
Download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읽고.hwp
이렇게 진술의 여러 가지 방식을 분석해서 얻어낸 10개의 범주들 가운데 첫째 범주는 실체의 범주이다.
Ⅱ. 讀後感
3)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렇듯 진술의 종류 및 그에 상응하는 술어의 종류를 갈라냄으로써, 그로부터 각각의 술어가 가리키는 `있는 것`의 부류를 구분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는 있는 것의 다의성에 대한 테제를 다양한 종류의 진술 형태를 이끌어들여 설명(說明)한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읽고나서
Download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읽고.hwp( 85 )
Ⅰ. 발췌요약(P94~142)
4) 그 하나는 `실체를 가리키는 `무엇``이다. 둘째로, 어떤 진술, 로고스가 성립하려면 주어에 해당하는 실체가 먼저 제시되어야 한다.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 전학과 3학년 동서양고전 B형 참고 입니다
Ⅰ. 발췌요약(P94~142)
레포트 >
- 방통대 2010-1 전학과 3학년 동서양고전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김진성 옮김, 이제이북스 2007
6)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개별자와 `무엇`을 첫째로 있는 것` 또는 실체라고 부르는데, 이 구분은 《범주론》에서 introduce한 `첫째 실체`와 `둘째 실체`의 구분에 상응한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 ]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김진성 옮김, 이제이북스 2007
순서
1. 실체의 일반적 본성과 종류 《형이상학》VII권 1장-2장
다.
설명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동서양고전, 발췌요약, 독후감
1) 아리스토텔레스 존재론의 출발점은 `있는 것은 여러 가지 말뜻으로 쓰인다`는 테제이다. 첫째로, 실체는 그것에 속해있는 다른 것들보다 시간의 측면에서나 있음의 측면에서 앞선다.
- 다양한 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5) `무엇`인지에 대한 대답으로 제시되는 것이 먼저 실체의 범주에 속한다. 셋째로 실체는 앎에서도 앞선다. 그리고 이 범주에 속하는 것들, 즉 실체들은 `첫째로 있는 것`이라고 불린다. 실체가 어떤 뜻에서 `첫째로` 있는 것인지를 아리스토텔레스는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說明)한다. 그리고 이렇게 나뉜 술어의 부류에 `범주`라는 이름을 붙이는데, 이런 범주들은 술어의 부류이자 동시에 각각의 술어가 가리키는 있는 것의 부류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