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 최인훈의 광장 작품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4:04
본문
Download : 고전문학 - 최인훈의 광장 작품 분석.hwp
다시 말하면 4·19에 의해 남북 분단을 정면으로 다룰 수 없다는 금기가 깨졌다는 것이다.
최인훈(1936.04.13 ~ )
◉ 광장이 나올 수 있었던 배경
미국과 소련에 의해 남과 북으로 민주주의 공산주의로 나뉘게 되고 결국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공습으로 전쟁이 처음 된다.
1. 시대적 상황
1945년 해방 직후부터 한국전쟁이 끝나는 1953년 까지 약 8년의 상황이다. 작가는 나중에 이 작품이 나올 수 있었던 이유를 4.19혁명에서 찾는다.
◉ 광장 속의 시대적 상황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고전문학 - 최인훈의 광장 작품 분석.hwp( 82 )
<광장> 전의 50년대 ‘전후(戰後) 소설’들은 대부분 전쟁의 비극적 체험을 바탕으로 불안한 사회 속에서의 삶의 모순을 그린 반면 <광장>에 이르러서는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통해 분단의 비극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후 3년 간 전쟁이 지속되고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이루어진다. 전쟁포로가 된 사람들은 남과 북 또는 제3국을 선택하게 된다. 2. 작가 introduction
고전문학,최인훈,광장
<광장> 전의 50년대 ‘전후(戰後) 소설’들은 대부분 전쟁의 비극적 체험을 바탕으로 불안한 사회 속에서의 삶의 모순을 그린 반면 <광장>에 이르러서는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통해 분단의 비극을 그리기 스타트했다. 4.19혁명은 이승만정권의 독재에 대항해 일으킨 혁명으로 비록 실패했지만 추후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고 독재정권을 잠시나마 불식시키는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순서
고전문학 - 최인훈의 광장 작품 分析(분석)
설명





다. 이것은 당시 사회가 북한에 대한 인식이 철저하게 왜곡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 이후 개작이 많이 되어서 우리가 보고 있는 소설은 1970년대 이후 개작된 작품이다. 공산당, 빨갱이들은 모두 머리에 뿔난 괴물로 묘사될 정도였으니 이런 소설이 나올 수 있었다는 것은 역시 자유혁명의 바람 때문 일 것이다.
광장이 나온 것은 1960년에 발간된 <새벽>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