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 부동산평가활동의 절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1:01
본문
Download : 부동산평가활동의 절차.hwp
(9) 평가보고서의 작성
1. 평가활동 절차의 의의
부동산평가활동의 절차에 대상으로하여 일목요연하게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 글입니다. 처리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예비조사를 하여 평가방법, 수집할 data(資料)의 종류 및 양을 판단한다.
(6) 평가방식의 적용
[본문일부]
또 일본의 부동산감정평가기준은 ① 기본적 사항의 확정 ② 처리계획의 수립 ③ 대상부동산의 확인 ④ data(資料)의 수집과 정리 ⑤ 수집된 data(資料)의 검토와 가격형성요인의 analysis ⑥ 평가방식의 적용 ⑦ 시간가격 또는 시산임료의 조정 ⑧ 평가가격의 결정 ⑨ 평가보고서의 작성 등 9단계로 나누고 있따
2. 평가활동의 절차
[목차]
(2) 처리계획의 수립
(4) data(資料)의 수립 및 정리
대상부동산의 확인(identification of subject property)은 부동산의 現況과 확인data(資料)의 내용이 실제로 부합되는가를 확인하는 것으로, 부동산의 유형적인 측면인 물적확인(物的確認)과 무형적인 측면인 권리태양(權利態樣) 및 진정성에 관한 확인의 두 가지가 있따
Download : 부동산평가활동의 절차.hwp( 56 )
[부동산학] 부동산평가활동의 절차
기본적 사항이 확정되면 대상부동산의 평가에 대한 작업의 성질, 양(量) 등이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계획적이고 질서 있는 처리계획(處理計劃)을 수립하여야 한다. 즉, 대상부동산의 확인으로부터 평가보고서의 작성에 이르기까지 평가절차에 필요한 작업의 성질과 양, 평가주체 및 그 보조자의 업무처리 능력 등을 감안하여 작업의 일정, 일의 분담내용 등을 정한다.
(2) 처리계획의 수립
1. 평가활동 절차의 의의
(3) 대상부동산의 확인
(7) 시산가격의 조정
미국 부동산감정사협회는 평가절차(評價節次, appraising procedure)를 ① 기본적사항의 확정 ② 예비analysis 및 data(資料)의 수집과 선별 ③ 최유효이용의 analysis ④ 토지가격의 추산 ⑤ 3방식의 적용 ⑥ 시산가격의 조정(reconciliation of value indications) 및 최종가격의 평정 (final value estimate) ⑦ 보고서 작성의 7단계로 분류하고 있따
다.
(1) 기본적 사항의 확정
(5) data(資料)의 점토와 가격형성요인의 analysis
부동산, 부동산학, 부동산평가, 평가절차, 공인중개사
설명
2. 평가활동의 절차
부동산평가활동(不動産評價活動)은 가격평정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된 일련의 계획적인 작업이며, 여기에는 평가에 관한 모든 theory(이론)이 종합적으로 활용된다된다.
부동산평가활동의 절차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3) 대상부동산의 확인
(8) 평가가격의 결정
(1) 기본적 사항의 확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기본적 사항의 확정(definition of the appraisal problem)이란 평가를 하는데 기본적인 대상부동산, 가격시점, 평가해야 할 권리, 평가결과의 이용목적, 가격의 종류(examples : market value, use value, investment value, assessed value) 등을 확정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