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4:45
본문
Download : 20032m_kuk.hwp
2. 삼강행실도의 특징
설명
참고문헌
삼강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삼강행실도의특징 국어사 자료로서의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
3. 국어사 로서의 삼강행실도
Download : 20032m_kuk.hwp( 30 )
Ⅲ. conclusion(결론)
〈삼강행실도〉의 그림에는 당시 유명한 화가인 안견(安堅)·최경(崔涇)·안귀생(安貴生) 등이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1. 서지적 검토
삼강행실도의특징 국어사 자료로서의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도)
Ⅰ.서론
본 과제물에서는 삼강행실도의 구체적인 서지적 검토를 행한 뒤 이를 바탕으로 국어학적 property(특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각 사실에 그림을 붙이고 한문으로 설명한 다음 7언절구(七言絶句) 2수의 영가(詠歌)에 4언일구(四言一句)의 찬(贊)을 붙였고, 그림 위에는 한문과 같은 뜻의 한글을 달았다. 효자도에는 <순임금의 큰 효성(虞舜大孝)>을 비롯하여 역대 효자 110명을, 충신도에는 <용봉이 간하다 죽다(龍逢諫死)> 외에 112명의 충신을, 열녀도에는 <아황·여영이 상강에서 죽다(皇英死湘)> 외에 94명의 열녀를 紹介하고 있다. 여기 수록된 그림들은 조선시대 판화의 주류를 형성하는 삼강오륜 계통의 판화들에 큰 影響을 끼쳤다. 그 후 이 책은 1481년(성종 12)에 한글로 번역되어 간행되었고, 이어 1511년(중종 6)과 1516년, 1554년(명종 9), 1606년(선조 39), 1729년(영조 5)에 각각 중간되어 도덕서로 활용되었다.





순서
Ⅱ. 본론
삼강행실도의특징 국어사 자료로서의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내용은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삼강행실충신도(三綱行實忠臣圖)·삼강행실열녀도(三綱行實烈女圖)의 3부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